글쓴이 보관물: xguru

LIFT Asia 08 후기#1. 첫째날 세션1 : Beyond the web we know

LIFT Asia 08

LIFT Asia 08 행사 시작전에 있었던 BarCamp Jeju 후기글에 이어서 적어봅니다.

LIFT 컨퍼런스는 LIFT 공식 홈페이지의 말을 빌리면

“새로운 세대에 걸맞은 컨퍼런스로써, 창의력 배양과 네트워킹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LIFT는 우리 사회에서 기술이 갖는 의미에 대해 독특하고 창조적인 방법으로 논의를 합니다.”

라고 합니다. 예전에 제가 소개해 드린 TED 가 미국이 주도하는 컨퍼런스 라고 하면, LIFT 는 유럽 그중에서도 스위스에 기반을 둔 컨퍼런스입니다.
TNC 의 김창원 대표님께서는 “Europe’s TED” 라고 표현도 하시는군요. LikeJAzz 님도 비슷한 말씀을 ^^;

하여튼.. 왜 LIFT 일까 하고 궁금해 했는데, 공식 웹사이트를 뒤져보니 이것의 약자라고 나와 있더군요.

Life , Ideas , Futures , Together

원래 생각한것인지, 나중에 만들어 넣은것인지 모르겠지만 잘 맞아 떨어지는 듯합니다. 음.. 제가 Lift Asia에서 느낀대로 바꿔보면

Life , Inspirations , Futures , Technology

위의 단어가 말해주는 대로.. 저에겐 기술 그리고 미래에 대해 정말 많은 영감을 얻을수 있었던 아주 독특한 컨퍼런스 였습니다.

Beyond the Web Browser? : 웹브라우저를 넘어서서

이번 LIFT Asia 08 의 주제는 바로 “웹브라우저를 넘어서서” 입니다. 3일간의 세션을 다 들어본 결과, 몇몇 세션은 잘 맞지 않는것도 있었습니다만, 전체 세션의 총합적인 느낌은 “네트웍/인터넷이 우리사회에 끼친/끼칠 영향” 정도가 부제목이 아닐까 합니다. 사실 네트웍이라는게 이제는 일반 사용자들의 관점에선 다 웹으로 귀결되는 느낌이긴 하지만요.

LIFT Asia 08 – #0. Welcome Speech

LIFT 설립자인 Laurent Haug 와 아트센터 나비 의 노소영 관장이 나와서 환영사와 함께 LIFT 컨퍼런스가 시작되었습니다.

Laurent 이 LIFT 컨퍼런스 설명을 하는데, 이런말을 하더군요. “우린 세션당 질문을 받지 않는다. 5분정도를 할애해서 몇명의 의문점을 해결하는것은 다소 소모적인 것이다.” 정확히 이런말이였는지 기억은 잘 안나는데 하여간 이런투의 얘기였습니다. 사실 매우 공감합니다. 그 몇명이 수백명의 사람들을 대표하는 질문을 하는것도 아니고, 종종 다소 황당한 질문들로 많은 사람의 시간을 소모하는것이였으니까요. LIFT 는 세션간에 휴식시간(실제로는 커뮤니케이션 시간이죠)을 많이 두어 직접 강연자에게 질문을 할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LIFT 소개 페이지에 보면, LIFT 에선 모든 강연자들이 3일의 컨퍼런스 기간내내 머무를것을 요청하며, 단지 짧은시간에 발표만 하고 돌아가는 강연자는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강연자에게도 컨퍼런스 기간 내내 청중과 대화를 하도록 강요하는거죠. 음.. 그런데 정작 사회를 맡았던 Laurent 은 세션마치고 다음 세션 을 소개하기전에 한두개의 질문을 하더군요 ^^;; 그런데 그 질문들이 꽤 중요한 것들이긴 했습니다 🙂

LIFT Asia 08 – #1. Beyond the web we know : 우리가 아는 웹을 넘어서

Laurent Haug & 이재웅

키노트는 Laurent 과 이재웅 전 다음커뮤니케이션 대표가 서로 대화하는 형식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이번 컨퍼런스의 주제와 차후에 이어질 각 세션들에 대한 설명이 쭉 이어졌습니다. 스크립트 준비를 꽤 하신듯 하더군요 😉 어떤 얘기가 오고 갔는지는 몽양부활님의 LIFT 08 첫째날 스크립트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그리고 바로 이어서 Stamen Design 의 설립자인 Eric Rodenbeck 이 정보시각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는데, 처음엔 프랑스 생리학자(Physiologist) Etienne-Jules Marey의 소개와 그에 관련된 다양한 사진/이미지들로 제 눈길을 잡아끌더군요. 새를 찍기위한 총 형태의 사진기나, 인간이나 새들의 동작을 캡쳐한 사진등.. 마레(Marey)는 맥박과 혈압을 그래프로 그려내는 맥파기록기의 발명자로 현재에 사용하는 기계도 그의 것을 수정보완하여 만들어진것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구글에서 찾은 Marey 의 이미지들입니다. 발표에서는 맥파기록기 그림을 눈에 딱 들어오는것을 사용했는데 인터넷을 뒤져봐도 잘 보이지가 않네요.

Marey

변화/이동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Marey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Eric 은 현실의 데이타/정보를 좀더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나타내는 정보시각화에 대한 독특한 이미지들(GPS 를 이용한 택시의 이동 , 범죄율을 지도에 표시 등)로 끝까지 제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정작 보느라 정신이 팔려서 사진은 하나도 못남겼는데, 차후에 LIFT사이트에 비디오가 올라오면 링크를 걸어두려고 합니다. 제가 이쪽에 익숙치 않아서 그런지 아주 인상적인 발표였습니다. 아래는 역시 구글에서 찾은 이미지로 샌프란시스코에서 GPS를 탑재한 택시의 이동을 표시한 Capspotting 이란 이미지입니다.

Stamen Design : Capspotting

그리고, 첫 세션의 마지막은 TNC(태터앤컴퍼니) 김창원 대표의 발표였습니다. 제목은 아래 사진에 보이는대로..

The Future of Social Media : 김창원

소셜미디어의 미래는 더 좋은 홈페이지다“라고 화두를 꺼낸 김창원 대표는 더 좋은 홈페이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호텔과 집의 비교를 통해, 현재의 웹은 집을 빌려쓰는 호텔비즈니스이기 때문에 이제는 내 집이 필요하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컨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분리되면 사용자들이 옮겨다니면서 피로해 질수 있으므로, 자신의 홈에서 소비와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것이 홈페이지 2.0이라고 얘기를 했는데, 저도 이 생산과 소비의 관점에선 일정 부분 동감합니다. 하지만, 내집의 개념에선 아무래도 많은 이들의 인식의 차이가 있을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정말로 호스팅을 통해 저만의 집을 꾸미기 좋아합니다만, 이럴 경우 얻게 되는 장점과 단점이 극명히 드러나기 때문이죠. 자기 마음대로의 Full Customization , 트래픽, 타 사용자와의 연계 등등.. 티스토리가 어느정도 절충형이긴 합니다만, 아직 완벽한 내집이란 느낌은 들지 않죠. 하여튼 나름 관심도 있고, 저로서는 제가 직접 만든 블로그 를 4년째 사용중이라.. 재미있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저도 마음대로 꾸밀수 있는 제 집이 좋습니다. 🙂

이거 간단히 적으려고 했는데도 점점 길어지네요. 세션별로 나눠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글이 길어지면 집중력이 떨어지는듯 해요 🙂

LIFT Asia 08 후기#0. BarCamp Jeju – 열린 컨퍼런스

다음 커뮤니케이션 의 초청으로 제주에서 열린 Lift Asia 08BarCamp Jeju에 다녀왔습니다. 좋은 기회를 마련해 주신 다음 기업커뮤니케이션팀의 이용욱님,이슬기님 정말 고맙습니다. 그외에도 다음의 많은 직원분들이 잘 챙겨주셔서 편안하게 일정을 소화할수 있었습니다.

가기전에 예고 포스팅을 하려고 했는데, 제주행 비행기티켓이랑 숙소일정이 출발전날 나와서 출발전에는 못 올리고 후기부터 올리게 되었네요. 초청에 의해서 컨퍼런스에 가는게 처음이라 비행기표가 딱 손에 들어오기 전에 포스팅하기가 왠지 좀 민망하더라구요. 나중에 알고보니 여행사와의 문제로 티켓과 숙소때문에 Daum 직원분들이 많이 고생하셨다고 합니다. ^^;

짧다면 짧은 3일의 기간이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얻은게 참 많은지라, 글이 좀 길어질듯 해서 몇개의 글로 나눠서 적어볼까 합니다.

BarCamp –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열린 컨퍼런스

BarCamp 는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자유로운/형식없는 컨퍼런스 입니다. 원래 바캠프는 팀 오라일리가 주최하는 콘퍼런스인 Foo Camp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 푸캠프 는 매년 열리는 컨퍼런스로 초대에 의해서만 참가가 가능합니다. 이에 대응해서 해커들이 변수명을 지칭할때 종종 사용 되는 Foo Bar 에서 따서 FooCamp 가 아닌 BarCamp 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FooCamp 와는 반대로 초대가 아닌 참가하고 싶은사람 누구가 참여할수 있고, 모든 참가자는 한번씩 발표를 해야하고, 발표후에는 자신의 블로그등에다 올려서 지식을 더 많이 공유하는것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1회 , 2회BarCamp Seoul 이라는 이름으로 서울에서 열렸었구요.
이번엔 LIFT 컨퍼런스 기간에 맞추어서 BarCamp Jeju라는 이름으로 제주에서 열렸습니다.

BarCamp Jeju

이미 1회/2회에 참가하셨던 Joone(주네) 님을 통해서 관련정보는 계속 접했었지만 이런 저런 사유로 참가를 못했었는데요.
LIFT 때문에 제주도까지 가게 되었으니 이때다 싶어서 발표자료를 만들어 참가해보기로 했습니다.

BarCamp Jeju 엔 약 30분정도가 참가하셨구요. 재미있는 주제가 많아서 개인적으로는 아주 만족스러웠습니다.
아래 사진이 발표 순서를 표시한 것이구요. (사진은 LikeJAzz 님의 BarCamp Jeju 후기에서 가져왔습니다)
발표 순서를 정하면서 다이내믹하게 발표장이 2개에서 한개로 합쳐졌다가 다시 2개로 갈라지는 바캠프 특유의 자유로움을 볼수 있었습니다. 🙂

BarCamp Jeju Sessions

막상 발표를 하려고 하니.. 발표주제가 자유라고는 하지만, 어느정도 재미도 있고 다른분들도 관심있어 하는 주제가 좋을까 싶어서 이런 저런 고민을 하다가 제가 최근에 관심있어 하는 “Crawling the Web” 이라는 주제로 발표자료를 준비했습니다. 이 발표에 대한건 자료와 함께 뒤쪽에 정리하겠습니다.
(제 발표는 어땠는지 잘 모르겠네요. 저 혼자만 재미있는거라고 생각한건 아닐까 했는데, 다행히 몇분이 관심을 가지고 질문해 주시더군요. 다행다행 ^^; )

제가 참가하고 나서 느낀 BarCamp Jeju의 특징 세가지를 꼽으라면

  • 참가자 모두가 기여를 하고 자유로운 지식의 공유를 통해서 서로 서로 발전한다는 것
  • 무형식의 형식이 가져다 주는 편안한 분위기.
  • 맛있는 식사! (개인적으로 LIFT 보다 BarCamp 쪽 식사가 더 맛있었다는 ^_^;;; )

아직 참가해보지 못한 다른분들께 적극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곧 BarCamp Seoul 3회가 열린다고 하니까요 🙂

국내에 첫 BarCamp 를 열으셨던 Channy(차니) 님께선, 꼭 Daum 이나 차니님이 주관을 하진 않아도 되는데.. 먼저 시작했다는 것 때문에 여기저기서 다음번엔 언제하냐는 질문이 계속 와서 부담이 많이 된다고 하시더군요. 관심있는 다른 회사나 다른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지원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좀더 다양한 주제로 더 많은 행사가 있다면 저 자신에게도 시야를 넓힐수 있는 기회가 될듯 합니다.

Crawling the Web

BarCamp Jeju에서 발표했던 “Crawling the Web” 이란 주제의 발표입니다.

일반적으로 Web Crawler 라고 하면 검색엔진만을 떠올리는데, 저는 검색이 아닌 용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개개인만을 위한 Web Crawler 를 얘기해보려고 했습니다. 발표자료가 간단한데.. 약 15분정도의 시간으로, 일반적인 용도의 Crawling 사례들을 소개하고 발전방향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봤습니다.
LikeJAzz 님의 날카로운 질문으로 약간 당황하기도 했지만.. ^^; 관심있게 들어주셨던 모든 분들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__)

저 개인적으로는 이제부턴 참가가 가능한 모든 Camp 들에 참가해야 겠다고 다짐할 정도로 정말 많은것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자리였구요.
저와 인사를 나누었던 많은 분들 정말 반가웠습니다. BarCamp Seoul 3 에서 다시 또 뵈었으면 좋겠네요 🙂